1. 언어정보학이란?

언어정보학이란 정보화 시대의 필수 과제인 언어 정보 처리 기술 개발에 관련된 학문으로국어학언어학정보학전산학 등의 학문간 연구로 이루어진다언어정보학 협동과정은 1997년 연세대학교의 교책 연구소 중 하나인 한국어사전편찬실(현 언어정보연구원주관으로 국어정보학 협동과정으로 시작되어 이론과 실제를 겸하는 학문적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03년 국어정보학 협동과정은 언어정보학 협동과정으로 학과 명칭이 개정됨으로써 학문적 폭을 더욱 넓히도록 하였다.

2. 세부전공

2.1 국어정보학(Korean Language and Information)

정보 소통의 관점에서 국어학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국어를 이루는 언어 단위들에 대한 정보를 체계화하고 구조화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이에 국어정보학의 연구 범위로는 정보로서의 가치를 갖는 국어 자료를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국어 정보 분석국어 정보의 효율적 구축 및 가공국어 정보 처리 등의 주제가 포함된다.

2.2 한국어교육 정보학(Informatic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언어 자료와 매체 자료에 대한 연구방법론 및 자료 축적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어교육을 위한 정보 처리통계 처리 등 한국어교육에서 응용 가능한 정보학적 이론을 연구한다.

2.3 말뭉치 언어학(Corpus Linguistics)

언어 정보의 자원으로서의 말뭉치를 어떻게 구성하고 구축할 것인가어떤 연구의 목적에 맞는 말뭉치의 구성 요건은 무엇이며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가 등의 연구를 한다대규모의 말뭉치를 구축가공하고그 분석을 통한 언어 자료 처리의 이론과 기술을 연구함과 아울러국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의 언어 현상을 분석한다.

2.4 사전편찬학(Lexicography)

언어 정보 참조 도구의 핵심인 사전을 정보 처리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일반 사전어휘 데이타베이스전자 사전 등에 대해 연구한다거시적 관점에서 사전이 갖추어야 할 구조적 요건이나 미시적 관점에서 사전이 갖추어야 할 기술적 문제가 연구 범위에 해당한다.

2.5 전산언어학(Computational Linguistics)

언어 구조의 전산적 표현과 처리를 위한 언어 모형 설계와 이론 정립을 연구한다따라서전산학적 접근 분야인 자연어처리(NLP)와 유사한 연구 주제를 가진다.

2.6 언어공학(Language Engineering)

대량의 자연 언어 자료를 기반으로 통계적 언어 처리 모형을 설계하여 여러 자연 언어 처리 분야에 응용 가능한 기술과 이론을 연구한다아울러 대규모 텍스트의 효율적 관리와 정보 조직화를 위한 이론적 배경과 기반 기술을 연구한다.

3. 관련 연구실 소개

본 협동과정이 설립되어 있는 언어정보연구원(Institute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udies: ILIS)은 1989년에 한국어사전편찬실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된 후 현재의 이름으로 확대 개편된 교책 연구소이다연세국학의 가장 중요한 축을 이루어 온 국어학과 오늘날의 첨단 전산 기술을 접목사전편찬학말뭉치언어학국어정보학 등 새로운 첨단 학문 분야의 개척에 주력하고 있으며현재 사전연구센터언어정보연구센터정보기술연구센터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센터대학원 언어정보학 협동과정의 산하 연구 및 교육 조직으로 이루어진 종합 연구 기관으로 확대되었다.

4. 진출분야

○ 국어 정책 기관

○ 한국어교육 분야

○ 정보 통신 연구 기관

○ IT 기술 분야

○ 사전 편찬 관련 분야